본문
사단법인 동려(이사장 고용석)는 6월 20일(금) 창립 제50주년 기념식과 겸하여 ‘동려50년사’ 발간 기념식을 동려평생학교 강당에서 열었다. 약 150석인 강당에는 축하인사들로 가득 채워졌다. 18시부터 진행된 기념식에는 주간반 학생들과 졸업생 등으로 조직된 오카리나 연주, 난타 공연 등이 식전 축하공연으로 꾸며졌으며 많은 참석자들로부터 박수갈채를 받았다.
이날 행사는 도의장상에 회원 양영우님, 제주시장상에 김옥희회원, 자원봉사협의회장 표창에 동려초아·대학봉사단들의 표창이 있었고, 자원교사 30년 근속패에 문신철회원, 10년 근속패 시상과 동려학교의 발전에 도움을 주신 여러 클럽 단체에겐 감사패 전달식도 함께 하였다. 동려의 가장 크게 기여한 분에게 드리는 ‘동려패’는 동려 초대회장이며 지금은 고인이 된 강상배씨에게 추서되었는데 패를 비석 형태로 만들어서 묘 앞에 세운다고 했다.
동려는 1974년부터 당시 대학생이던 분들 10명이 준비하여 1975년 4월에 창립되어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주기 위하여 동려야간학교를 운영하면서 시작된 단체이다. 이들은 교실을 구하지 못하여 이도1동에 있는 舊오현고의 교실을 빌려 쓰기도 하고, 삼도2동의 삼부토건 자재실을 빌려 쓰기도 하고, 舊제주농고의 콘센트 건물을 빌려 쓰기도 하는 등 떠돌이 생활을 하기도 했는데 운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일일다실을 여러 차례 열기도 했다. 2001년에는 제주도와 제주시의 지원금과 회원들의 성금을 모아 현재의 위치에 건물을 짓고 도에 기부체납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과정, 중학교 과정에 대해서는 학력 인정을 받는 기관으로 지정되었고, 고등학교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학생은 전체 150명 정도가 다니고 있으며, ○○명의 교사는 모두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는 본교 졸업생도 있어 이 학교의 성과를 짐작할 수 있다.
‘동려50년사’는 이미 나온 30년사를 보완하고 추가하는 작업이었는데 강준배 前이사장이 편찬위원장을 맡아 2년 가까운 노력 끝에 완성하였다. 50년사는 1부 태동과 성장, 2부 아름다운 성과, 3부 우리들의 이야기, 4부 특집으로 구성되었다. 비정규학교가 50년사를 펴낸 것으로는 전국 최초의 일이며 1,000부를 발행하여 전국 문해교육 등 비정규학교에도 배부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는 도의장상에 회원 양영우님, 제주시장상에 김옥희회원, 자원봉사협의회장 표창에 동려초아·대학봉사단들의 표창이 있었고, 자원교사 30년 근속패에 문신철회원, 10년 근속패 시상과 동려학교의 발전에 도움을 주신 여러 클럽 단체에겐 감사패 전달식도 함께 하였다. 동려의 가장 크게 기여한 분에게 드리는 ‘동려패’는 동려 초대회장이며 지금은 고인이 된 강상배씨에게 추서되었는데 패를 비석 형태로 만들어서 묘 앞에 세운다고 했다.
동려는 1974년부터 당시 대학생이던 분들 10명이 준비하여 1975년 4월에 창립되어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주기 위하여 동려야간학교를 운영하면서 시작된 단체이다. 이들은 교실을 구하지 못하여 이도1동에 있는 舊오현고의 교실을 빌려 쓰기도 하고, 삼도2동의 삼부토건 자재실을 빌려 쓰기도 하고, 舊제주농고의 콘센트 건물을 빌려 쓰기도 하는 등 떠돌이 생활을 하기도 했는데 운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일일다실을 여러 차례 열기도 했다. 2001년에는 제주도와 제주시의 지원금과 회원들의 성금을 모아 현재의 위치에 건물을 짓고 도에 기부체납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과정, 중학교 과정에 대해서는 학력 인정을 받는 기관으로 지정되었고, 고등학교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학생은 전체 150명 정도가 다니고 있으며, ○○명의 교사는 모두 자원봉사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는 본교 졸업생도 있어 이 학교의 성과를 짐작할 수 있다.
‘동려50년사’는 이미 나온 30년사를 보완하고 추가하는 작업이었는데 강준배 前이사장이 편찬위원장을 맡아 2년 가까운 노력 끝에 완성하였다. 50년사는 1부 태동과 성장, 2부 아름다운 성과, 3부 우리들의 이야기, 4부 특집으로 구성되었다. 비정규학교가 50년사를 펴낸 것으로는 전국 최초의 일이며 1,000부를 발행하여 전국 문해교육 등 비정규학교에도 배부할 예정이다.